연구의 방법


본 연구과제는 전산화와 연구방법론 양측에서 있어 독창적이며 효율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전산화의 경우, 기존의 족보 전산화가 父系 위주로 구성되어 실제 자신의 모든 조상을 검색할 수 없는 ‘기형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즉 본 과제에서는 전통적인 ‘八高祖圖’ 방식을 원용하여, 부계를 포함한 다양한 계보도를 모두 복원하는 방식을 동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적관계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개인의 신상정보와 인적관계망을 검색하는 효율적 방식을 도입하려고 한다. 한편 전거의 제시를 통해 오류의 수정과 가계의 복원에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노력도 아울러 시도한다.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도, 기존의 방법론적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1) 연구자료로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는 '족보'자료를 다른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사료가치의 재창출을 기도한다.

2) 평면적이고 일방적인 관계로 연구되어 왔던 家와 개인간의 관계를 상호 유기적 역학관계로 이해하여 좀더 실질적 역사상에 다가가고자 한다.

3) 시간적 흐름으로만 연구되어 왔던 가문의 형성과 성쇠과정 등에 대한 연구에 '공간성'을 부여하여, 사회구성원리에 대한 고찰에 좀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4) 중국 사회사 연구와의 비교사적 검토를 통해 한국 중세 가족,친족사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얻고자 노력한다.

 


연구내용


족보의 전산화를 통해 중세 사회구성원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본 과제의 내용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

1) 혈통이데올로기의 정립과 행동방식 : 중세시기에 있어 '천손의식'의 체화와 그 이데올로기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고, 아울러 가문의 서열화와 국가지배질서가 어떻게 구축되었으며 그 내용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2) 가문과 가문의 네트워크 : 중세시기 가문의 혼맥과 흥망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우선 중세 사회의 변동과 그 속에서 드러난 유명가문의 부침 사이의 역관계를 조망하고, 다음으로 혼인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각 집단 사이의 '집단의식'과 배타성의 구축과정을 살펴본다.

3) 家와 개인의 유기적 역학관계 : 家와 개인의 역학관계를 조망하기 위해, 우선 중세시기 가문 구성원의 범위와 가문의 존재형태를 고찰하고 아울러 家 속의 개인과 그의 행동양식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4) 중세인의 조상에 대한 기억과 혈연의식 : 한국의 가계 기록방식의 고찰을 통해 중세인의 선조의식을 살펴본다. 아울러 가계 기록 방식의 변화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여말선초 성리학의 사회화 과정 속에서 드러난 선조의식의 변화와 그 원인을 고찰한다.

5) 중국 송대 족보수찬을 통해 본 가족과 종족의식 : 비교사적 관점에서 중국 송대 족보 편찬의 특징과 이를 통해 드러난 송대 가족구조 및 종족 재건의 과정을 한국 중세 가족·친족사 연구와 접목한다.



수행 계획


가. 과제 수행의 추진전략

본 연구과제는 한국 중세시기 가계를 복원하고 당시의 사회구성원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족보 내용에 포함된 구체적인 사실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사회질서·국가운영·사회이념 등을 연관지어 고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 중 어느 한쪽이 등한시된다면, 전체상을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과제의 수행은 구체적 사실의 확인과 그를 통해 중세 사회의 전체상을 규명하는 작업을 같은 비중으로 진행시켜 나가고자 한다.


나. 추진 일정

1) 1차년도
① 기초 자료 조사 및 수집 : 2004.9~2004.12
② 자료 분석 : 2004.10~2005.1
③ DB방법론 개발 : 2004.9-2005.1
④ 자료 입력 : 2004.11-2005.5
⑤ 개별·공동연구 : 2005.2, 2005.4
⑥ 중간발표회 : 2005.5
⑦ 중간결과 보고서 작성 : 2005.6
⑧ 1차년도 최종보고서 : 2005. 12

2) 2차년도
① 자료의 재검토 및 DB 추가 : 2005.9~2005.10
② DB 재검수 및 확인 : 2005.9~2005.12
③ 운영프로그램 개발 : 2005.9-2006.2
④ 운영프로그램 시험 : 2006.1-2006.6
⑤ 학술발표회 : 2006.5
⑦ 최종결과보고서 작성 : 2006.6
⑧ 최종결과보고서 제출 :2006.12





결과와 활용방안


■ 연구 분야

1) 중세 한국사 연구의 전기 마련: 인물 및 사상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
2) 자료의 활용성 증대 및 편의성 제고 : 개별 족보에 분산된 내용의 종합 정리 및 DB화
3) 사회사 연구의 기초 자료 및 연구방법론 제공
4) 연구의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 산업 분야

1) 중세사를 기초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인프라 역할
2) 기존 문화산업계에 대한 방향 제시
3)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결합하여 웹용 서비스로 활용


■ 사회 분야

1) 고정된 사회구조 이해에 대한 재조명
2) 사회변화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 정립
3) 교육용 교재 개발 가능